Vi 편집기는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텍스트 편집기로, 초기화면이 명령 모드(Command Mode)로 시작하여 편집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입력 모드(Insert Mode)로 전환해야 합니다. 명령어를 실행하려면 명령 모드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명령어를 입력하고, 입력 모드로 전환하려면 명령 모드에서 'i', 'a', 'o' 등의 키를 입력합니다. 아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Vi 편집기 명령어입니다:
- 명령 모드(Command Mode):
- i: 현재 커서 위치에서 입력 모드로 전환 (현재 위치에 문자를 삽입할 수 있음).
- a: 현재 커서 다음 위치에서 입력 모드로 전환 (다음 위치에 문자를 삽입할 수 있음).
- o: 현재 행 다음에 새로운 행을 삽입하고 입력 모드로 전환.
- x: 현재 커서 위치의 문자를 삭제.
- dd: 현재 행을 삭제.
- yy: 현재 행을 복사.
- p: 현재 행 다음에 복사한 내용을 붙여넣기.
- u: 이전 명령을 취소 (Undo).
- :q: 편집기 종료 (저장되지 않은 변경사항이 있을 경우 종료되지 않음).
- :q!: 변경사항을 저장하지 않고 편집기 종료.
- :w: 변경사항을 저장 (저장만 하고 편집기는 종료하지 않음).
- :wq 또는 ZZ: 변경사항을 저장하고 편집기 종료.
- /검색어: 검색어를 찾아서 해당 위치로 이동. n 키를 눌러 다음 검색 결과로 이동.
- :숫자: 해당 숫자만큼의 행 번호로 이동.
- 입력 모드(Insert Mode):
- 입력 모드에서는 일반적인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 입력 모드로 전환한 후에는 Esc 키를 누르면 다시 명령 모드로 돌아옵니다.
예를 들어, 파일을 열기 위해서는 터미널에서 vi 파일이름 명령을 입력하고, 명령 모드에서 i를 눌러 입력 모드로 전환하여 텍스트를 편집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Esc를 눌러 명령 모드로 돌아온 후에 :wq를 입력하여 저장하고 종료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명령어는 Vi 편집기의 일반적인 명령어이며, Vi의 다양한 확장 기능이나 Vim(Vi Improved) 편집기의 기능은 더 다양하고 복잡합니다. Vi 편집기는 처음 사용하면 익숙해지기까지 다소 어려울 수 있으나, 익숙해지면 매우 강력한 편집기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